맨위로가기

연안 인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안 인씨는 몽골 출신 인후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인후는 1275년 고려 충렬왕의 비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귀화했으며, 원나라에서 관직을 역임하며 고려 조정에서 활동했다. 그의 아들 인승단이 연안부원군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연안을 본관으로 삼았다. 연안은 현재 황해남도 연안군 일대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시대부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다가 고려 충선왕 때 연안으로 개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안 인씨 - 인후
    인후는 고려 시대 인물로, 인승광과 인승단이라는 아들과 원선장에게 시집간 딸을 두었다.
연안 인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가한국
지역연안군
창시자인후
한자 표기
한글연안 인씨
한자延安印氏
시조
시조인후
통계 (2000년)
인구588명

2. 역사

연안 인씨는 몽골 출신인 인후(印侯)를 시조로 한다. 그는 1275년(충렬왕 1년)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와서 귀화하였다. 인후의 아들 인승단(印承旦)이 충목왕 때 좌정승으로 연안부원군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본관을 연안으로 삼게 되었다.[4]

2. 1. 시조

연안 인씨의 시조는 '''인후'''(印侯, 1250년 ~ 1311년)이다. 그는 몽골 사람으로 본명은 忽刺歹|훌라타이mon이다. 1275년(충렬왕 1년)에 충렬왕의 비인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와서 귀화하였다. 인후라는 이름은 당시 대장군이었던 교동 인씨 인공수(印公秀)와 친분이 있어 그의 성을 빌려 쓴 것이라고 전해진다.

1277년에는 조인규(趙仁規)와 함께 원나라에 가서 새매(鷂子)를 바쳤다. 또한 충렬왕이 응방(鷹坊, 매 사육 및 사냥 담당 기관)을 없애려 할 때 이를 강하게 반대한 것으로 보아, 응방을 기반으로 세력을 형성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278년에는 조인규와 함께 경상도에 파견되어, 몽골 군인들이 본국으로 돌아갈 때 부모가 허락한 아내 외에는 데려가지 못하게 하는 임무와 유민(流民)을 찾아 호적에 올리는 일을 맡았다. 이듬해인 1279년에도 조인규와 함께 원나라에 가서 전함 수리가 필요함을 보고했다. 훗날 고려의 실권자가 되는 조인규와의 이러한 관계는 인후가 출세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1280년(충렬왕 6년)에는 대장군으로서 원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원나라가 김해(金海, 당시 김주) 등에 진변만호부(鎭邊萬戶府)를 설치할 때, 원나라로부터 소용대장군진변만호(昭勇大將軍鎭邊萬戶)에 임명되어 군사 동원 증표인 호부(虎符)와 직인(職印)을 받았다. 1286년에는 부지밀직(副知密直)에 임명되었고, 본적(籍)을 승평군(昇平郡, 현재의 순천시 일대)에 두었다. 이후 판밀직지도첨의찬성사(判密直知都僉議贊成事) 등의 여러 관직을 거쳤다.

1298년 광정사참지기무(光政事參知機務)에 임명되었다가 곧 중대광 첨의시랑 찬성사 판병조감찰사사(重大匡僉議侍郎贊成事判兵曹監察司事)라는 높은 관직에 올랐다. 하지만 이 무렵 재상 한희유(韓希愈)에게 개인적인 원한이 있어 그를 무고하여 섬으로 유배 보냈으나, 나중에 무고임이 밝혀져 파직당하고 원나라에 머물렀다.

한희유가 죽은 뒤인 1309년(충선왕 1년), 자의도첨의사사 평양군(咨議都僉議司事平壤君)에 임명되고 다시 만호부(萬戶府)의 직책을 맡게 되었다. 충선왕이 복위한 후에는 첨의밀직(僉議密直)에 임명되었고, 이후 검교정승(檢校政丞)의 직위가 더해졌으며, 충근보우공신(忠勤輔佑功臣)이라는 공신 칭호를 받았다.

그의 아들 인승단(印承旦)이 충목왕 때 좌정승으로 연안부원군(延安府院君)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본관을 연안군으로 삼게 되었다.[4]

2. 2. 고려에서의 활동 (인후)

연안 인씨의 시조 '''인후'''(印侯, 1250년 ~ 1311년)는 몽골 출신으로, 본명은 훌라타이(忽刺歹)이다.[4] 1275년(충렬왕 1년) 충렬왕의 비인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와서 귀화하였다.[4] 인후라는 이름은 당시 대장군이었던 교동 인씨 인공수(印公秀)와 친분이 있어 그의 성을 빌려 사용한 것이라고 전해진다.[4]

1277년에는 조인규(趙仁規)와 함께 에 가서 새매를 바쳤으며, 충렬왕이 매 사냥을 위한 기관인 응방(鷹坊)을 없애려 할 때 이를 강하게 반대한 것으로 보아, 주로 응방을 기반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던 것으로 추정된다.[4] 1278년에는 조인규와 함께 경상도에 파견되어, 원나라 군인으로 고려에 왔다가 본국으로 돌아가는 이들이 부모가 허락한 아내 외에는 데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임무를 수행했다.[4] 같은 해 다시 조인규와 함께 경상도에서 유민(流民)을 찾아 호적에 올리는 일을 맡았다.[4] 이듬해인 1279년에는 조인규와 함께 원나라에 가서 전함 수리 문제를 보고했다.[4] 훗날 고려의 실권자가 되는 조인규와의 이러한 관계는 인후가 출세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4]

1280년에는 대장군으로서 원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4] 원나라가 김주(金州, 현재의 경상남도 김해시) 등에 진변만호부(鎭邊萬戶府)를 설치할 때, 원나라로부터 소용대장군진변만호(昭勇大將軍鎭邊萬戶)에 임명되어 군사 동원 표지인 호부(虎符)와 직인(職印)을 받았다.[4]

1286년에는 부지밀직(副知密直)에 임명되었고, 본적을 승평군(昇平郡, 현재의 전라남도 순천시)에 두었다.[4] 이후 판밀직지도첨의찬성사(判密直知都僉議贊成事) 등 여러 관직을 거쳐 1298년에는 광정사참지기무(光政事參知機務)에 임명되었으나, 곧 중대광 첨의시랑 찬성사 판병조감찰사사(重大匡僉議侍郎贊成事判兵曹監察司事)로 승진했다.[4] 이 시기에 재상 한희유(韓希愈)에게 개인적인 원한이 있어 그를 무고하여 섬으로 유배 보냈으나, 나중에 무고임이 밝혀져 파직당하고 원나라에 머물렀다.[4]

한희유가 죽은 뒤인 1309년(충선왕 1년), 충선왕이 복위하면서 자의도첨의사사 평양군(咨議都僉議司事平壤君)에 임명되었고 다시 만호(萬戶)가 되었다.[4] 이후 첨의밀직(僉議密直)에 임명되었다가 검교정승(檢校政丞)의 직위가 더해졌으며, 충근보우공신(忠勤輔佑功臣)이라는 공신 칭호를 받았다.[4]

그의 아들 인승단(印承旦)은 충목왕 때 좌정승에 오르고 연안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이를 계기로 후손들이 본관을 연안으로 삼게 되었다.[4]

2. 3. 본관의 유래

연안(延安)은 황해남도 연안군 일대의 옛 지명이다. 고구려 시대에는 동음홀(冬音忽) 또는 고염성(鼓鹽城)이라 불렸고, 신라 시대에는 해고군(海皐郡)으로 바뀌었다. 고려 시대에는 염주(鹽州), 영응현(永膺縣), 복주(復州), 석주(碩州), 온주(溫州)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다가, 1310년(충선왕 2년)에 연안(延安)이라는 이름으로 고쳐졌다. 조선 시대인 1413년(태종 13년)에는 연안도호부가 설치되었고, 1895년(고종 32년) 지방 제도 개편으로 연안군이 되었다. 1914년 일제 강점기에 군면 폐합 정책에 따라 배천군(白川郡)과 합쳐져 연백군이 되었다.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연안군에 해당한다.

3. 본관

연안(延安)은 황해남도 연안군 일원의 옛 지명이다. 고구려 때 동음홀(冬音忽) 또는 고염성(鼓鹽城)이라 부르다가 신라 시대에 해고군(海皐郡)으로 바꾸었다. 고려에서는 염주(鹽州) · 영응현(永膺縣) · 복주(復州) · 석주(碩州) · 온주(溫州) 등으로 고쳐 불렀고, 1310년(충선왕 2년)에 연안(延安)으로 고쳤다. 1413년(태종 13년)에 연안도호부가 되었고, 1895년(고종 32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연안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연안군은 다시 배천군(白川郡)과 합하여 연백군이 되었다.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연안군이다.

4. 인구

wikitext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20가구120명
2000년164가구588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인후 印侯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연안인씨 延安印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4]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 연안 인씨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